2025 국민내일배움카드 지원한도와 신청방법 한눈에 확인하기

 

올해 취업, 이직, 창업을 계획 중이라면 지금이 바로 기회입니다. 

특히 2025년 국민내일배움카드가 대폭 확대 지원을 시작해, 놓치면 손해일 만큼 혜택이 늘어났습니다. 자격 요건, 지원 범위, 변경 사항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릴 테니 아래 버튼 눌러 꼭 확인하세요!

 

 

 

 


2025년 달라진 지원 한도


올해부터 기간제·단시간·파견·일용근로자와 고용위기지역·특별고용지원업종 종사자의 지원 한도가 확대되었습니다. 

기존에는 계좌 한도 300만 원을 모두 사용하면 100만 원만 추가 지원되었지만, 이제는 200만 원이 추가 지원됩니다. 즉, 최대 500만 원까지 훈련비 지원이 가능해져 더 다양한 교육을 수강할 수 있습니다.


구분 기존 추가 지원 2025년 변경
기간제·단시간·파견·일용근로자 등 100만 원 200만 원

가정 밖 청소년 훈련비 우대


가정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청소년의 자립을 위해 훈련비 자부담률이 대폭 완화되었습니다. 

청소년복지시설 입·퇴소 확인서를 제출하면 자부담률이 0~20%로 낮아지고, 계좌 한도 300만 원 소진 후 200만 원 추가 지원이 가능합니다.


대상 자부담률 추가지원
가정 밖 청소년 0~20% 200만 원

원격훈련 범위 확대


그동안 구직자는 실업자 원격훈련 과정만 수강할 수 있었지만, 2025년부터는 일부 재직자 원격훈련 과정도 수강이 가능해졌습니다.

 부족했던 분야의 훈련 접근성이 높아지고, 22개 훈련 기관에서 597개 과정이 새롭게 열립니다.


지원 대상과 제외 조건


국민내일배움카드는 대부분 국민이 지원받을 수 있으나,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 75세 이상, 일정 소득 이상의 자영업자·근로자는 제외됩니다. 

기본 지원은 5년간 300~500만 원이며, 고용노동부 인정 훈련과정에 한해 훈련비 일부 또는 전액이 지원됩니다.


지원 대상 지원 내용
대부분의 국민 5년간 300~500만 원 한도, 인정 훈련과정 수강 시 훈련비 지원
제외 대상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 75세 이상, 고소득 자영업자·근로자 등

신청 방법


신청은 가까운 고용센터 방문 또는 고용24 누리집에서 가능합니다. 

구비서류는 신분증, 발급 신청서, 개인정보 동의서, 해당 지원 대상 입증서류 등이 필요합니다.


결론


2025년 국민내일배움카드는 취업, 이직, 창업을 준비하는 모든 사람에게 더 넓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특히 취약계층과 청소년에게는 더 큰 지원이 마련되어 있으니, 올해 목표 달성을 위해 꼭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Q&A


Q1.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은 누구나 가능한가요?
대부분의 국민이 가능하나, 일부 고소득·특정 직종은 제외됩니다.


Q2.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나요?
네, 고용24 누리집에서 가능합니다.


Q3. 원격훈련 과정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HRD-Net에서 과정 검색 후 '원격훈련' 필터를 적용하면 됩니다.


Q4. 가정 밖 청소년 지원은 어떤 서류가 필요한가요?
청소년복지시설 입·퇴소 확인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Q5. 추가 지원금은 언제 받을 수 있나요?
기본 한도(300만 원) 소진 후 신청 시 지급됩니다.


다음 이전